불교문화3 中國佛敎 聲唱의 流變 =====目 次======= 1. 中國佛敎 聲唱의 起源과 종류 (1) 法苑珠林의 설명 (2) 高僧傳의 설명 2. 轉讀의 발생과 소멸 (1) 轉讀이란 무엇인가 (2) 梵唄와 구분되는 轉讀에 관한 기록들 3. 梵唄의 탄생과 그 流別 (1) 범패의 탄생 (2) 범패의 流別 (3) 범패소리의 특징 1. 中國佛敎 聲唱의 起源과 종류 문학이나 예술의 기원이 인간의 종교행위에 있다고 믿는 것은 학계의 보편적인 합의인 듯하다. 그리고 종교행위는 인간의 예술과 문학을 점화하는 데만 그치지 아니하고 인류사에서 내내 예술과 문학에 풍부한 영양을 계속 공급하기도 한다. 중국의 경우를 보자면 문학과 예술은 유교가 국교의 자리를 차지하면서부터 비로소 풍부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가 오늘날 중국적인 것이라고 받아들이는 모든 것, 이.. 2021. 7. 31. 中國佛敎 講經法會의 流變 ==== 目 次 ==== 1. 講經의 起源 : 齋와 法會 2. 講經의 分化와 그 종류 (1) 一日講과 開題大會 (2) 依經講經 3. 講經의 형식과 儀式절차 (1) 都講 (2) 講經의 儀式 4. 講經의 俗化와 講唱 (1) 講經의 俗化 가) 通俗化의 문화적 배경 나) 唱導와의 관계 다) 俗講 (2) 講唱의 발달 가) 講經과 講唱 나) 敦煌의 講唱 5. 맺음말 1. 講經의 起源 : 齋와 法會 阿含이나 律藏에서 볼 수 있는 원시불교교단에서 행한 대중적인 모임의 이름으로는 ‘pañcavārṣikamaha(五歲大會)’ 또는 ‘ṣaḍvārṣikamaha(六歲大會)’라고 하는 것이 가장 원형이 아닌가 한데, 이런 모임의 주된 목적은 수행자인 사문들에게 필요한 물건이나 음식을 나누어 주는 일이었다. 즉 이런 모임을 통하.. 2021. 7. 31. 삼국유사의 성격 중국인들은 오랜 옛날부터 서쪽에서 들어오는 외래문화를 선호했다. 그리고 이윽고 그것을 자기화한다. 불교의 경우도 그러했다. 처음에는 경전을 한문으로 번역하기만 하다가 마침내는 자기 위주의 불교사를 기록하게 된다. 경전 번역에 대해서는 다른 기회에 이야기하기로 하고, 중국인들이 불교사를 자기 위주로 만드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중국인들은 역사를 중시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역사가 아니라 기록을 중시한다. 중국에서 기록물은 권위의 근거이자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이기 때문이다. 우선 불교도들은 교주인 석가모니불의 전기부터 확보하고자 했다. 그러나 서쪽에서 들어오는 문서에는 석가모니불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만 있을 뿐 편년적인 기록이 없었다. 인도인들의 시간 관념이 중국과는 달랐기 때문이다(그래서 인도는.. 2021. 7.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