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好學2

인(仁)이란 무엇인가? 우주의 구조가 하늘과 땅으로 나뉜 것과 마찬가지로 인간 세상의 구조도 지배층과 피지배층으로 나뉜다는 것이 공자 사유체계의 기본 틀입니다. 하늘의 별들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질서 있게 움직이듯이, 인간세상도 군주를 중심으로 질서 있게 움직여야 한다고 그는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군주의 권력을 영속시키기 위해 天이라는 관념을 만들어 연결시킵니다. 물론 그러한 구상은 순전히 공자가 창안한 것이 아니라 이전부터 내려오던 관념들을 정리하기만 했을 것입니다. 공자의 사유체계는 이렇듯이 군주를 중심으로 한 권력의 구조와 위계질서에 대한 사유체계입니다. 권력은 자기보다 아래의 서열을 결정하는 힘을 가리키고, 그 힘이 위에서 아래로 행사되도록 짜인 구도를 위계질서라고 합니다. 권력이 위계질서에 따라 매끄럽게 행사되는 것을 .. 2022. 3. 20.
學이란 무엇인가? 군자·인·의·례·지·신 등 『논어』의 핵심어들은 모두 ‘學’이라는 글자로 총괄됩니다. 學이라는 글자에 군자·인·의·례·지·신에 대한 개념이 들어있다는 뜻이 아니라, 공자는 그 어떤 덕목이든 學을 거치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는 뜻에서 그렇게 말씀드리는 겁니다. 백가 가운데 유가가 최종적으로 패권을 확보하게 된 배경도 學을 중시했기 때문입니다. 學을 중시했기 때문에 유가는 문헌을 보전할 수 있었고, 문헌을 장악했기 때문에 정통성을 주장할 수 있었습니다. ‘學’ 자의 원래 뜻은 ‘본받다’라는 뜻입니다. 한국어 새김인 ‘배우다’라는 말도 원래는 ‘본받다’라는 뜻입니다. ‘본받다’라는 말은 따라 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니까 공자는 ‘본받기’, ‘따라하기’를 강조했던 것입니다. 요즘의 ‘공부하기’와는 당연히 다.. 2021. 10. 1.